| [평론] 2024 김길후 단체전 |
백남준 ㆍ 윤석남 ㆍ 김길후 | 《함(咸): Sentient Beings》
이진명 | 미술비평 ㆍ 철학박사
세 번째 작가는 길후이다. 길후는 회화계의 프로테우스로 불린다. 번화무앙한(protean) 창조성과 실 력을 갖추어 이 시대에 맞는 새로운 회화를 추구하고 있다. 길후는 2014년 연작과 최근작을 동시에 펼 친다. 그의 예술 화두는 '현자(賢者)'와 '바른 깨우침(正覺)'의 의미를 회화로 표현하는 방법에 자리한 다. 작가는 그림의 진실한 추구에서 여래(如來)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우리 내면에 이미 깃들어 있다. 길후의 회화 세계에 염화미소(拈花微笑)의 진정한 의미가 담겨있다. 따라서 그의 회화 세계는 현자(부처)와 함께한다.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다 허망하니 만일 모든 형상이 형상 아님을 보면 곧 여래(如來)를 발견하리라."
이번 전시에는 길후의 대표작이 출품된다. 2010년도 작품 <사유의 손>과 2014년도 작품 <무제>가 그 것이다. <사유의 손>은 근래 보기 드문 역작으로 정각에 도달한 현인의 모습을 극화하고 있다. 길후는 2000년대 들어서 불학에 정진했다. 당시 정각정행(正覺正行)의 요체에 대하여 어렴풋이 알았다고 한 다. 정각정행은 수신(修身)의 요체(要請)이다. 정각(正覺)은 바른 자리를 깨달았다는 뜻으로 바른 자 리는 유무가 아니다. 그것은 선악도 아니며, 시비도 아니다. 생사도 떠나며, 고락도 불허한다. 일체를 부인함도 아닌 자리로서, 만일 이 바른 자리를 깨닫고(覺) 보면 바른 자리가 곧 부처님의 마음자리이 다. 동시에 각자의 마음자리이다. 일체중생의 근본처(根本處)이다. 이를 견성(見性)이라고 한다. 정행 (正行)은 유무와 선악과 시비와 생사와 고락과 허무와 편벽됨이 없는 중도의 행(行)을 이름이니, 곧 집 착(執著)이나 편착(偏着) 없는 원만한 행위이자 실천이다.
사유는 정각을 가리키며, 작품에서 90도로 기울인 얼굴은 정각을 상징하는 도상이다. 손은 바르고 원 만한 행위, 즉 정행을 상징한다. 매우 두터운 매질(medium)과 안료를 섞어 캔버스 화면에 올려서 부 조의 느낌을 주었다. 회화임에도 조각적 입체감을 자아내며 인물의 표정은 매우 깊이 있다. 반짝이는 표면의 빛남은 현자만의 엑스터시를 직감하게 한다. 이로부터 4년 후 완성된 <무제>는 같은 주제이지 만 빛과 명암을 대비시켜 우리에게 진리의 의미를 깨우치게 해준다.
<무제>의 화면 오른쪽에서 미명이 떠오르니 밝은 아침 해가 거뭇한 칠흑의 밤을 물리치고 있다. 인류 사의 많은 그림의 역사와 시사(詩史)에서 어둠이 빛을 잡아먹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길후의 <무제>는 빛이 어둠을 밀어내는 찰나의 순간을 담고 있기에 보는 이는 통쾌한 것이다. '양(陽)'이 '유(幽)'를 물리 치는 장면이야말로 '유미입진(由美入眞)'의 경지이다. 아름다움을 통해서 진리를 드러내는 것이다. 어 진 사람[賢者]은 세파에 시달려도 무릎 꿇지 않고 언젠가 기필코 빛(진리)으로 어둠(거짓)을 물리친다. 불교의 미륵보살이 그것이며, 『주역』의 복괘(復卦)가 그것이고, 그리스도의 복음(福音)이 그것이다.
"현자는 오른쪽을 향하여 마주한다. 그윽하게 눈을 감았다. 미명은 현자의 미려한 비익(鼻翼)과 인중을 밝게 물들이며, 희열을 머금은 눈가를 비춘다. 눈가에는 눈물이 이슬처럼 영롱하다."
구유(九幽)처럼 어두운 좌측 화면에는 강렬한 마티에르 효과를 주었다. 따라서 우리는 현자의 안면에 핏줄과 주름이 솟아있음을 감지한다. 고난과 곤경의 역사를 압축한 듯하다. 반면, 오른쪽에서 밀려드는 밝은 미명은 다가올 한낮의 빛, 즉 보조(普照)를 예견한다. 진리는 언제나 강렬한 대조를 이루어 표 현되는 것이다. 작품의 마력이 여기에 있다.
이번 전시의 기획 의도는 '함(咸)'을 'influence'나 'wooing' 으로 보지 않고 'sentient beings'로 해석한 곳에 있다. 'Sentient beings'는 중생(衆生)과 같은 말이다. 호주 출신의 철학자 피터 싱어(Peter Singer, 1946-)가 1975년에 제창한 개념으로, 그는 우리가 인간 중심적 휴머니즘을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했 다. 감각이 있어서 외부 세계를 느끼는 모든 대상은 품계의 구분 없이 우주의 중심으로 대접받아 마땅 하다는 뜻을 지닌다. 함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주가 함께 느끼니 모든 사물이 함께 살아가고, 성인이 사람의 마음을 감화하니 온 세상이 화평하다. "
그러나 위의 가르침과 다르게 현재는 분열의 시기다. 남녀가 갈리고 빈부 차가 심화하고 귀천 개념이 재등판하는 시대는 여간 곤란한 것이 아니다. 사람이 자연(우주)의 화육(化育)에 동참하지 않으며 타 자를 불신한다. 이는 더 곤란하다. 물질주의나 과학주의로 난관은 극복되지 않는다. 이때 선인의 말 씀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장횡거(張橫渠, 1020-1077)는 동양적 사유를 단 22자로 압축하여 표현한 적이 있다. "세계[天地]를 위해서 마음을 세우고 생민을 위해서 도리를 세운다. 지나간 성인의 끊겼던 학문을 이어 나가고 영원히 진행되는 시간[萬世]을 위해서 위대한 평화의 문을 연다." 함괘의 뜻과 그 대로 일치한다. 그것은 또한 백남준의 뜻이며 윤석남의 마음이고 길후의 지향이다. 세 작가의 마음과 예술을 통하여 우리 시대를 비추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Nam June PAIKㆍYUN SuknamㆍKIM Gil-hu | Ham (咸): Sentinent Beings
Jin-myung Lee | Art Critic, PhD in Aesthetics & Oriental Studies
The third artist featured in this exhibition is Gil-hu (b. 1961). The artist is known as the Proteus of the Korean art world for his protean creativity and abilities, with which he seeks to produce novel forms of painting relevant to contemporary times. In this exhibition, he presents his serial work from 2014 alongside more recent works. The topic of his art lies along the lines of how to convey the Buddhist concepts of "sage" and maha-bodhi (true awakening) through painting. The artist believes that the Tathagata (one of Buddha's titles) inherent within us can be found in the sincere pursuit of painting. Gil-hu's course of work captures the true moral of the "Flower Sermon" story, which is to say that the sage (Buddha) stands by his oeuvre of paintings.
"All with visible form is deceptive. If you can see all forms as formless, then you can see the Tathagata."
This exhibition features Gil-hu's most representative works: The Thinking Hand (2010) and Untitled (2014). The former is a work of rare quality, dramatically depicting a wise man reaching maha-bodhi. The artist has devoted himself to Buddhist studies since the 2000s when he only had a vague understanding of Jeonggak Jeonghaeng (正覺正行, the true awakening and righteous conduct), essential to Buddhist asceticism practices. Jeonggak literally translates to "recognizing the right place to be." Here, "right place" has nothing to do with either presence or absence, good or evil, right or wrong, life or death, joy or sorrow, nor the denial of it all.
Once enlightened of this "right place to be," one finds oneself inside the mind of Buddha and, at the same time, inside the mind of one's own. This "place" refers to the root, foundation, and home of all living beings, and to be there is to see into one's true nature. "Righteous conduct" refers to walking the midway path leaning neither toward presence nor absence, good nor evil, life nor death, joy nor sorrow, nor futility; it is liberation from obsessions and the practice of moderation and impartiality.
The Thinking Hand, depicting a face tilted at a 90-degree angle, represents true awakening. The hand symbolizes righteous and moderate conduct. The thick medium, mixed with pigment and repeatedly layered onto the canvas, creates a surface reminiscent of a relief to endow the painting with a sense of sculptural volume. The figure has a profound expression on his face, while the glistening surface alludes to the ecstasy felt only by a sage on the verge of true awakening. Produced four years later, Untitled explores the same theme but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dark, it enlightens the viewer about the meaning of truth.
In Untitled, subtle light emerges from the east of the frame, suggesting that the morning sun is rising to defeat the pitch dark of the night. Historically, paintings and poems have often captured moments when light is consumed by the dark. Gil-hu's Untitled presents a sense of gratification in this sense as it captures the moment when light is on the verge of exorcising the dark. The scene of yang defeating yin epitomizes the notion of yumiipjin (由美入眞)- the revelation of truth through beauty. A sage refuses to kneel before torment and ultimately defeats darkness (deceit) through light (truth). This is the lesson taught by the Buddhist concept of Maitreya, the 64 gwae of the Book of Changes, and the Christian gospel alike.
The sage in Untitled faces the light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with his eyes gently closed. The dawn's early light dyes the wise man's nose and philtrum bright, illuminating his ecstasy- enclosed eyes, beneath which tears pool like morning dew. The left side of the frame, as dark as the underworld, is marked by a prominent sense of matiere, which replaces the veins and wrinkles that run across the sage's face like brands of his history of ordeals and predicaments. Meanwhile, the light of dawn streaming in from the other side foretells the advent of midday glory, that is, enlightenment. Truth is always revealed in relativity to its antipode, and the work's power lies in this very contrast.
The intent behind this exhibition can be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bam as "sentient beings" rather than "influence" or "wooing." "Sentient beings," synonymous with "all living creatures," is a concept coined in 1975 by Australian-born philosopher Peter Singer (b. 1946), who advocated the transcendence of anthropocentric humanism and believed that all beings with the capacity to perceive the outer world and respond to sensations deserve to be treated 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without hierarchical distinction. The ham gwae states that "When heaven and earth empathize as one, all things live in harmony, and when saints touch people's hearts, everything under the heaven is peaceful. "
The present era, however, is one of division and far removed from the above teaching. The era is marked by gender conflicts, widening wealth gaps, and the comeback of the once obsolete concept of class poses problems. Humans are refusing to partake in the nurturing of nature (the universe) and insisting on distrusting others, which results in more plights. The state of our impasse cannot be solved with materialism or scientism. It is time we pay heed to the wise and virtuous.
Zhang Hengqu (張橫渠, a.k.a. Zhang Zai, 1020-1077) once condensed the Eastern way of thinking down to 22 characters, translated as "Set your mind upright for the sake of the universe and establish principles for the living. Continue the studies initiated by past saints and open the door to great peace for the eternal time to progress." This teaching not only perfectly coincides with that preached by the ham gwae but also coincides with PAIK's motives, YUN's mindset, and Gil-hu's orientation. Let this exhibition serve as an opportunity to perceive our times through the minds and artworks of the three featured artists.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길후(1961-)는 회화계의 프로테우스로 불린다. 변화무쌍한 창조성과 실력을 갖추어 이 시대에 맞는 새로운 회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의 예술 화두는 ‘현자(賢者)’와 ‘바른 깨우침(正覺)’의 의미를 회화로 표현하는 방법에 자리한다. 작가는 그림의 진실한 추구에서 여래(如來)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우리 내면에 이미 깃들어 있다. 길후 작가의 회화 세계에 염화미소(拈花微笑)의 진정한 의미가 담겨있다. 따라서 그의 회화 세계는 현자(부처)와 함께한다는 뜻이다.
길후는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1988년 계명대학교 회화과 졸업 후 1996년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 SAC 젊은 작가상을 수상하여 같은 해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14년, 베이징 화이트 아트박스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개최했다. 포항시립미술관(포항), 송장당대문헌전시관(베이징), 복합문화공간 에무(서울) 등 국내외 기관에서 개인전을 선보였으며 서울시립미술관(서울), 대구미술관(대구), 울산문화예술회관(울산), 봉산문화회관(대구), 소카 아트센터(베이징), 전주문화예술회관(전주), 우봉미술관(대구) 등이 개최한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1년 제11회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작가상을 수상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천), 서울미술관(서울) 등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참고>
#ㅎㅏㄱㄱㅗㅈㅐ #HakgojaeGallery(@hakgojaegallery) ? Instagram 사진 및 동영상







